자녀 증여세 계산 방법 / 절세 방법 총정리
안녕하세요. 최근 증여세의 세율이 올라가면서 자녀에게 증여를 하고 싶은데, 어떻게 하면 증여세를 최대한 절세하면서 증여할 수 있을지 다들 고민하곤 합니다. 당연히 그 맘 알죠. 부모의 맘은 자식에게 하나라도 더 주고 싶고, 그러기 위해서 열심히 돈을 버는 건데, 괜히 애먼 세금이 돈을 가져가는 것 같은 기분. 세무사에 찾아가봐야 하나 그런 고민도 하게 됩니다. 그런 기분을 덜기 위해 오늘 정리해봅니다. 자녀 증여세 계산 방법, 절세 방법 정리해보아요.
자녀 증여세 면제 한도액
우리가 먼저 가장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내용은 바로, 자녀 증여세가 5천만원까지는 면제 된다는 것입니다. 그래서 이 법을 잘 이용하면 최대의 금액을 절세하면서 증여할 수 있습니다. 자녀 증여세 면제 한도액, 표로 다같이 보겠습니다.
증여자 | 수증자 | 공제액 |
배우자 | 배우자 | 6억원 |
직계존속 | 직계비속 (성인) | 5천만원 |
직계존속 | 직계비속 (미성년자) | 2천만원 |
직계비속 | 직계존속 | 5천만원 |
기타 친족 (6촌이내 혈족, 4촌이내 친척) | 기타 친족 | 1천만원 |
부모와 자녀는 직계존속과 직계비속의 관계에 해당합니다. 따라서 미성년자인 자녀에게는 최대 2천만원까지 세금 없이 증여할 수 있고, 성인인 자녀에게는 최대 5천만원까지 세금 없이 증여할 수 있습니다. 그리고 이 규정은 10년마다 갱신됩니다.
10년마다 갱신된다는 말은즉슨, 10년 전에 5천만원을 자녀에게 증여했다면, 10년 뒤에 5천만원을 또 증여해도 세금이 물리지 않는다는 뜻이 됩니다.
그래서 이 점을 이용하면 자녀가 성인이 된 이후로 20년동안 1억을 세금없이 증여할 수 있다는 말이 됩니다. 하지만 시간이 너무 길기 때문에, 우리는 세금을 아예 안 낼 수는 없습니다.
증여세 기본세율
안타깝게도 우린 한꺼번에 많은 돈을 자녀에게 증여하고 싶다면 증여세를 내야 합니다. 그런데 여기서도 증여금액에 따라 세금 차이가 있습니다. 한 번에 많은 돈을 증여하게 되면, 세금이 많습니다. 증여세도 일반 세금과 마찬가지로 누진세를 적용하기 때문입니다.
증여세 기본세율에 대해서 정리해보겠습니다. 보기 쉽게 아까 증여세 면제한도액과 마찬가지로 표로 한 번 정리해보았습니다.
과세 표준 | 세율 | 누진세 |
1억 이하 | 10% | 0 |
1억 초과 ~ 5억 이하 | 20% | 1000만원 |
5억 초과 ~ 10억 이하 | 30% | 6000만원 |
10억 초과 ~ 30억 이하 | 40% | 1억 6000만원 |
30억 초과 | 50% | 4억 6000만원 |
1억 이하를 증여하게 되면, 해당 금액의 10%를 증여세로 내게 됩니다. 반면에, 100억을 내게 된다면 그 중 절반인 무려 50억을 세금으로 내야 합니다. 거기에다가 누진세까지 포함되어 추가로 4억 6000만원을 더 내야 하므로 실제 자녀가 증여받는 금액은 절반인 50억이 채 되지 않습니다.
그래서 절세하고 싶다면, 금액이 클 경우 나눠서 증여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. 단순히 이 규정만으로 봤을 때 100억을 1억씩 100번 나누어 증여한다면 10억밖에 내지 않아도 될 것을 한 꺼번에 증여하면 54억을 세금으로 내야 되니까요.
자녀 증여세 계산 방법 마무리
저는 세무사가 아니기에 금액이 큰 경우라면 직접 세무사의 조언을 들어보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. 세무사를 직접 방문하면 또다른 규정으로 절세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지도 모르니까요. 이상으로 자녀 증여세 계산 방법, 절세 방법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.
'달달한 생활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재산세 납부 부과기준 조회 납부일 총정리 (0) | 2022.01.07 |
---|---|
부동산 중개수수료 개편안 인하 (2021년 10월 확정) (1) | 2021.10.11 |
신용등급 점수표 / 신용등급 점수 올리는 방법 총정리! (0) | 2021.01.26 |
소상공인 임차료 대출 집합금지 업종 한해 1천만원 (0) | 2021.01.24 |
학자금대출 신청방법 / 생활비 대출 총정리 (1) | 2021.01.13 |